사이트정보

광주광역시서구문화원에 오신것을 환영합니다

통합검색 검색 폼

게시물 (194건)

이보육이 아비 이의저의 무고를 올리는 상소 - 영조 3년
그동안 자신과 아비가 무함을 받았던 전말을 진달하고, 염치없이 직임에 나아갈 수 없으므로 삭직해 줄 것을 청하는 집의 이보욱의 상소 - 영조 3년 정미(1727) 9월 2일(을묘) 맑음. 묘시에 안개가 끼었다가 진시에 우이(右珥)가 있었음         집의 이보욱(李普昱)이 상소하기
호남의 농사가 재이를 초래하다 - 영조 3년
희정당(熙政堂)에서 소대를 행하는 자리에 참찬관 정택하 등이 입시하여 《황명통기(皇明通紀)》를 진강하고, 재해로 세량(稅糧)을 감면해 주는 문제 등을 논의하였다 - 영조 3년 정미(1727) 4월 12일(무술) 맑음     사시에 상이 희정당(熙政堂)에 나아갔다. 소대(召對)를 행하러 신하들이 입시한 자리이
민제장이 정우귀를 경솔하게 파직하다 - 영조 2년
장우귀(張宇龜)를 잉임(仍任)하도록 청하여 엄한 하교를 받았으므로 체차해 줄 것을 청하는 전라도 관찰사 김조택(金祖澤)의 상소 - 영조 2년 병오(1726) 4월 4일(병인) 맑음        전라도 관찰사 김조택(金祖澤)이 상소하기를,“삼가 아룁니다. 신은 본디 용렬하여 백에 하나도 잘하
광주 등의 전세를 영산강으로 수송케 청하는 상소 - 영조 1년
탕평(蕩平) 등에 대한 소회를 진달하고, 정세 등을 이유로 체차해 줄 것 등을 청하는 헌납 정택하(鄭宅河)의 상소 - 영조 1년 을사(1725) 3월 25일(계해) 맑음        헌납 정택하(鄭宅河)가 상소하기를,“삼가 아룁니다. 신이 시종(侍從)의 자리에 서게 된 이래로 이제 16년이 되었습
광주로 원배되었던 부수찬 강박의 상소 - 영조 즉위년
전 교리 김홍석(金弘錫)과 같은 관사의 동료가 될 수 없는 혐의 등을 이유로 체직해 줄 것을 청하는 부수찬 강박의 상소 - 영조 즉위년 갑진(1724) 11월 24일(갑자) 맑음         부수찬 강박(姜樸)이 상소하기를,“삼가 아룁니다. 신은 맡은 직임에 대하여 참으로 몹시 외람되이
송시열 등을 원손의 보도에 쓰도록 아뢰다- 인조 26년
희정당에서 대신 등을 인견할 때 영의정 김자점 등이 입시하여 사역원 역관 등의 문제에 대해 논의하였다 - 인조 26년 무자(1648) 10월 13일(갑진) 맑음        상이 희정당(熙政堂)에 나아가 대신과 비국 당상을 인견하였다. 영의정 김자점(金自點), 좌의정 이경석(李景奭), 병조 판
광주 이의우 등 농서를 구하는 구언 전지에 대한 배의 등 27명의 상소문 - 정조 22년
농사를 권장하고 농서를 구하는 구언 전지에 대한 배의 등 27명의 상소문 - 정조 22년 무오(1798) 11월 30일(기축)        농사를 권장하고 농서(農書)를 구하는 윤음을 내렸는데, 거기에 이르기를,“내년 기미년은 바로 선왕께서 적전(籍田)에서 친히 밭을 간 해이다. 50년 간을 임금
광주목사 조연덕의 죄를 묻다 - 정조 15년
정언 박길언이 지평 조각을 삭직하도록 아뢰다 - 정조 15년 신해(1791) 8월 28일(경오)        정언 박길원(朴吉源)이 아뢰기를,“언관(言官)의 거취는 염치를 지키는 것이 중요한 것입니다. 그런데 지난번 소금 가게와 땔나무 가게 등 두 가게에 패(牌)를 내준 일로 그 당시 사헌부
무신년에 종정한 209명에게 포장과 증직을 내리다 - 정조 12년
무신년에 종정한 송창기ㆍ김차동ㆍ김진희 등 209명에게 포장과 증직을 내리다 - 정조 12년 무신(1788) 3월 23일(을유) 오부(五部)와 제도에 무신년에 종정(從征)한 장사(將士)로서 생존한 사람과, 의를 지켜 순국(殉國)하였으면서도 아직까지 공적이 포양(褒揚)되지 않은 사람들을 찾아 아뢰게 하였다.<중략> 
이발(李潑, 1544~1589)
이발(李潑, 1544 ~ 1589)은 조선 중기의 문신으로 자는 경함(景涵), 호는 동암(東菴), 본관은 광산이다. 제학 이중호(李仲虎)의 아들이며, 네 형제 중 둘째였다. 효성이 지극하였고, 중후하고 엄정하였으며, 질박하고 성실하였다고도 하였다. 학문에 뜻을 두어 경연에서 왕도를 진달하고, 기강을 진작하고, 정도와 사도를 분
전남 감사 김시진이 조복양의 진소 공박으로 소를 올리다 - 현종(개수실록) 1년
전남 감사 김시진이 조복양의 진소 공박으로 소를 올리다  - 현종(개수실록) 1년 경자(1660) 11월 9일(경신)      전남 감사 김시진(金始振)이 조복양(趙復陽)의 진소(陳疏) 공박으로 해서 소를 올렸는데, 그 대략에 이르기를,“신이 호조 판서 허적(許積)과는 선후배가 같지 않아서 서울에
전남 감사 김시진의 상소문 - 현종 1년
조복양이 소를 올려 지신을 욕했다는 이유로 사직을 청한 전남 감사 김시진의 상소문 - 현종 1년 경자(1660) 11월 9일(경신)        전남 감사 김시진(金始振)이, 조복양(趙復陽)이 소를 올려 욕했다는 이유로 상소하여 사직을 청하였다. 그 대략에,“신과 호조 판서 허적의 무리와는
광주 사람 권이평이 청나라를 추종하여 참수를 당하다 - 인조 21년
광주 사람 권이평이 청나라를 추종하여 참수를 당하다 - 인조 21년 계미(1643) 4월 18일(신사)        그전에 광주(光州) 사람 권이평(權以平)이 상소하여 병사(兵事)를 말하고 또 자기 아들을 심양에 보내 동궁의 관소에 급사로 쓰게 해달라고 청하였는데, 정원이 내용이 괴상하고
진인의 출현에 대한 변란의 조처 - 인조 6년
진인의 출현에 대한 변란의 조처 - 인조 6년 무진(1628) 12월 18일(갑진) 남원 사람 송광유(宋匡裕)가 언문으로 상변(上變)하기를,“전 좌랑 윤운구(尹雲衢)가 신과 친한데, 하루는 신에게 말하기를 ‘나라가 망하려고 하여 진인(眞人)이 이미 나왔다. 한 술서(術書)에 「하늘이 사람을 내렸으니 그 나라는 반드시 멸망할
정철의 졸기 - 선조(수정실록) 26년
전 인성 부원군 정철의 졸기 - 선조(수정실록) 26년 계사(1593) 12월 1일(경술)        전(前) 인성 부원군(寅城府院君) 정철(鄭澈)이 졸하였다.과거에 정철이 부사(副使) 유근(柳根)과 함께 사은사(謝恩使)로 경사에 갔다가 돌아왔다. 이때 동로군문(東路軍門)이 화의(和議)를 주장
전 도사 조대중을 하옥하여 죽이다 - 선조(수정실록) 23년
전 도사 조대중을 하옥하여 죽이다 - 선조(수정실록) 23년 경인(1590) 3월 1일(임인)        전 도사(都事) 조대중(曹大中)을 하옥하여 죽였다. 대중이 전라 도사가 되어 역변의 초기에 부안(扶安)의 관창(官娼)을 대동하고 보성(寶城)에 이르러 서로 이별하면서 눈물을 흘렸다. 이에
한수민 등에게 관직을 제수하다 - 선조 37년
한준겸ㆍ박승종ㆍ허성 등에게 관직을 제수하다 - 선조 37년 갑진(1604) 1월 18일(기사)        한준겸(韓浚謙)을 이조 참판으로, 박승종(朴承宗)을 【경솔하고 기량이 작다.】 홍문관 부제학으로, 허성(許筬)을 사간원 대사간으로, 이상신(李尙信)을 예조 참의로, 강첨(姜籤)을 사헌
장지의 선정과 조성 문제로 대신들과 논의하다 - 선조 33년
장지의 선정과 조성 문제로 대신들과 논의하다 - 선조 33년 경자(1600) 7월 26일(정묘)        사시(巳時)에 상이 별전(別殿)에 나아가 영의정 이항복, 좌의정 이헌국, 우의정 김명원, 이조 판서 한응인, 지중추 윤자신, 예조 판서 이호민, 좌윤 성영, 예조 참판 유영길, 병조 참판
전라도 병영의 실태와 포도 대책을 아뢰다 - 선조 33년
전라도 병마 절도사 겸 장흥 도호부사 이광악이 병영의 실태와 포도 대책을 아뢰다 - 선조 33년 경자(1600) 1월 12일(정사)        전라도 병마 절도사 겸 장흥 도호부사(全羅道兵馬節度使兼長興都護府使) 이광악(李光岳)이 장계(狀啓)하기를,“신은 신병(身病)이 날로 깊어져 직무를
요동 도지휘사의 자문 내용을 논하다 - 선조 27년
대신과 비변사 당상, 양사, 옥당 등과 요동 도지휘사의 자문 내용을 논하다 - 선조 27년 갑오(1594) 7월 16일(임진)        상이 대신과 비변사 당상, 양사, 옥당을 인견하고 【영중추부사 심수경(沈守慶), 판중추부사 정곤수(鄭崑壽), 호조 판서 김명원(金命元), 이조 판서 김응남(
  • 광주광역시
  • 한국학호남진흥원
  • 사이버광주읍성
  • 광주서구청
  • 광주동구청
  • 광주남구청
  • 광주북구청
  • 광주광산구청
  • 전남대학교
  • 조선대학교
  • 호남대학교
  • 광주대학교
  • 광주여자대학교
  • 남부대학교
  • 송원대학교
  • 동신대학교
  • 문화체육관광부
  • 한국문화예술위원회
  •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 국립아시아문화전당
  • 광주문화예술회관
  • 광주비엔날레
  • 광주시립미술관
  • 광주문화재단
  • 광주국립박물관
  • 광주시립민속박물관
  • 국민권익위원회
  • 국세청